본문 바로가기

백트래킹15

[Swift][DFS][백트래킹] 백준 15654번 (N과 M (5)) 요구능력 : DFS와 백트래킹에 대한 이해 코드설명 : N과M(1) 에서 1부터 n까지 썻던 배열을 이 문제에서는 입력받아서 쓰는 차이가 있다. 바뀐건 아래 코드에 주석처리한 부분과 입력받는부분이 하나 더 추가된점 외에는 없다. 후기 : N과M문제는 N과M(1)만 잘 이해하고 있으면 연쇄적으로 잘풀려서 기분은 좋은거같다. let input = readLine()!.split(separator: " ").map{Int(String($0))!} let n = input[0] let m = input[1] var arr = readLine()!.split(separator: " ").map{Int(String($0))!} var visited: [Bool] = Array(repeating: false, cou.. 2021. 9. 29.
[Swift][DFS][BackTracking] 백준 15650번 (N과 M(2)) 요구능력 : DFS와 백트래킹에 대한 이해 코드설명 : N과 M(1) 에서 "고른 수열은 오름차순 이어야 한다." 라는 조건이 더해졌다. 그럼 우선 수열은 골라놔야하고 그 수열에서 오름차순인지를 판별해서 오름차순인것만 출력하면된다. 그래서 수열이 다 골라지고 print하는 지점에서 배열이 오름차순이면 출력하고 아니면 그냥 리턴하도록 하였다. 후기 : N과M(1) 문제에 간단한 조건1개만 추가한 문제 let arr = readLine()!.split(separator: " ").map{Int(String($0))!} let n = arr[0] let m = arr[1] var visited = Array(repeating: false, count: n + 1) var depth = 0 var result:.. 2021. 9. 25.
[Swift][DFS][백트래킹] 백준 15649번 (N과 M (1)) 요구능력 : DFS의 응용 코드설명 : DFS를 활용하는 백트래킹 문제이다. 백트래킹이란? 탐색하는데 필요한 많은 자원을 줄이기 위해 유망성있는 노드들을 중심으로 탐색하는 방법이다. 조건을 줘서 필요없는(유망성없는) 노드에는 방문조차 하지않는다. 백트래킹이라는 방법을 사용하기위해 DFS를 이용한다고 생각하면 된다. 이 문제에서 핵심 두 가지다. 1. 수열을 만들되, 백트래킹을 이용하여 중복되는 수(유망성없는 수)를 방문하지 않는다는것이다. 2. DFS를 사용하기 때문에 Stack을 활용한다는 것이다. 문제예시) 4 4를 입력했다고 치자. 아래 코드를 실행하게 되면, result(0) depth = 0, visitied[1] = false -> visited[1] = true, stack = [1] res.. 2021. 9. 23.